마우저 C96

마우저 C96

종류 권총
역사
사용국가 독일 제국의 기 독일 제국
바이마르 공화국의 기 바이마르 공화국
나치 독일의 기 나치 독일
브라질의 기 브라질
소련의 기 소련
스페인의 기 스페인
오스만 제국의 기 오스만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의 기 오스트리아-헝가리
이탈리아 왕국의 기 이탈리아 왕국
중화민국의 기 중화민국
핀란드의 기 핀란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기 대한민국 임시정부
개발년도 1895년
제원
중량 1.13 kg

마우저 C96(독일어: Mauser C96)은 1896년부터 1937년까지 독일마우저 사에서 100만 정 이상 제조된 반자동 권총이고, 스페인, 중국등에서 라이센스 없이도 복사, 제조되어 세계적으로 쓰인 권총이다.

개요

19세기 말까지 흔히 쓰였던 6발 장정 리볼버의 단점은 재장탄이었다. 6발 발사 후, 총을 열어서 탄피를 제거한 후, 한발 한발 재장전 하는 것은 호신용으로는 문제가 없었지만, 전투용으로는 불편한점이 많았다. 마우저 사에서는 6발, 10발, 20발을 장전할 수 있는 마우저 C96을 개발한다. 많은 탄을 장전 할 수 있었기에 생산국인 독일 뿐만 아니라, 영국, 터키등 외국의 장교들도 개인적으로 선호한 무기이다. 영국의 윈스턴 처칠 수상도 장교시절에 애용했었고, 아라비아의 로렌스도 한때 이용했다. 그 특이한 디자인 때문에 스타워즈의 한 솔로의 개인 무기로 할리우드에까지 등장했다.

실전

남아공의 식민지 전쟁인 2번째 보어 전쟁이 첫 참전이었고, 1차대전, 2차대전을 걸쳐, 한국전쟁, 베트남 전쟁까지도 쓰였다. 보어 전쟁 당시 기병 장교였던 윈스턴 처칠 중위세이버를 휘두르지 못할 정도로 어깨가 좋지 않아 이 총을 사비로 구입해 사용했다.

모델

  • M1896 기병용 : 목제 개머리판과 300mm나 370mm의 긴 총신과 10발 장착으로 기병용으로 제작되었으나, 판매는 미진했다.
  • M1896 콤팩트 : 6발 내장용, 120mm 총신.
  • M1896 장교용 : 미군 장교용 권총 선발 테스트용으로 쓰였기 때문에 비공식적으로 장교용으로 불렸다.
  • M1912 수출용 : 남미와 중국에 수출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9x25mm 탄을 썼다
  • M1290 변경판 : 1차대전의 패배와 함께 베르사이유 조약에서 총신 4인치 이상의 권총과 9mm 탄환이 금지되면서 총신이 짧아지고, 7.63x25mm 탄을 쓰는 등의 디자인이 변형되었다.
  • M1921 수출용(BOLO) : 베르사이유 조약에 따라 3.9인치(99mm)총신과, 7.63x25mm탄을 쓰는 수출용은 20년대와 30년대에 동유럽에 수출되어 러시아의 공산화(볼쇼비즘)에 쓰이게 되면서 Bolo판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 M1930 (M30) : 21년판을 간단하게 하고, 총신은 다시 132mm (초기)로 길어졌고, M30 후기형은 원형과 같은 140mm로 바뀌었다.
  • M1932 슈넬포이어 : 스페인에서 탄창을 따로 사용하는 개조를 시작했으므로 마이저에서도 1932년부터는 탄창을 따로 쓰는 슈넬포이어(급사)판을 발매했다.
  • 산서 17형 : 1차대전과 2차대전 사이 중국의 산서의 군벌정치가 옌시산이 8500정을 주문했다. 산서지역에서 만들어지는 복사판 톰슨과 구경을 맞추기 위해서 45구경을 쓴것이 특징이고, 굵은 구경때문에 5발씩 밖에 장탄이 가능하지 않았다.
  • 한양(漢陽) C96 : 중국의 한양병공장에서 13,000정이 만들어졌고, 7.63mm탄을 썼고, 산서 17형보다는 품질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있다.
  • Astra 모델900 : 스페인에서 1927년에서 1941년까지 만들어졌다.

대중문화

  • PC 게임 폴아웃 3에서 산서 17형 권총이 등장한다. 이쪽은 5발 장전되는 45구경이 아닌 10발 장전되는 10mm 권총탄을 사용한다.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자료와 분류가 있습니다.
마우저 C96 (분류)
  • (영어) 현대 화기
  • v
  • t
  • e
근세 화기 및 열병기
강선머스킷
  • 1853년형 엔필드 강선머스킷
  • 페이엇빌 소총
  • 갤러거 기병총
  • 1861년식 엔필드 머스키툰
  • 리치먼드 소총
  • 1835년형 스프링필드
  • 1840년형 스프링필드 수발식 머스킷
  • 1842년형 스프링필드
  • 1847년형 스프링필드
  • 1855년형 스프링필드
  • 1861년형 스프링필드
  • 1863년형 스프링필드
  • 1857년형 규격소총
초기 리볼버
  • 1872년형 스위스 리볼버
  • 보몬트-애덤스 리볼버
  • 1889년형 보데오
  • 브리티시 불도그 리볼버
  • 콜리어 수발식 리볼버
  • 엔필드 리볼버
  • 프론티어 불도그
  • 케르 특허 리볼버
  • 르포슈 M1858
  • 르마 리볼버
  • 가서 M1870
  • 국가리볼버
  • 1873년형 제식 리볼버
  • 마우저 지크자크
  • 1892년형 리볼버
  • 라슈트운트가서 M1898
  • 1858년형 레밍턴
  • 1875년형 레밍턴
  • 슈미트 M1882
  • 트랜터 리볼버
  • 26년식 권총
  • 벨로도그
  • 웨블리 리볼버
초기 반자동권총
  • 900형 아스트라
  • 바이야르 1908
  • 베레타 M1923
  • 베르크만 1896
  • 베르크만 마르스
  • 베르크만 심플렉스
  • 베르크만-바이야르 피스톨
  • 보어하르트 C-93
  • 콜트 M1900
  • 데이비스 워너 인폴리블
  • 드라이제 M1907
  • 1910년형 글리센티
  • 1901년형 해밀턴
  • 히노식 자동권총
  • JO.LO.AR.
  • 크른카
  • 루거 P08
  • 마르스 자동권총
  • 마우저 C96
  • 로트-슈타이어 M1907
  • 1907년형 새비지
  • 쇼우뵈 자동권총
  • 1898년형 슈바르츨로제
  • 1908년형 슈바르츨로제
  • 쇤베르거-라우만 1892
  • 슈타이어 M1912
  • 만리허 M1894
  • 만리허 M1901
  • 분류:초기 화기
  • 분류:근세 화기
전거 통제: 국가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 독일
  • 체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