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차 대프랑스 동맹

제4차 대프랑스 동맹
나폴레옹 전쟁의 일부

베를린을 행진하는 프랑스군, 1806
날짜1806년-1807년
장소
결과

프랑스 연합군의 승리, 틸지트 조약

교전국

영국 영국
러시아 제국의 기 러시아 제국
프로이센의 기 프로이센
스웨덴의 기 스웨덴
양시칠리아 왕국의 기 양시칠리아 왕국

작센 왕국의 기 작센 왕국 (1806년 12월 11일 전까지)

프랑스 프랑스 제국
이탈리아 왕국 (1805년~1814년) 이탈리아 왕국
나폴리 왕국 나폴리 왕국
스페인 스페인 제국
라인 동맹:

네덜란드 홀란트 왕국
나폴리 왕국의 기 나폴리 왕국
스위스 스위스 맹방
에트루리아 왕국의 기 에트루리아 왕국 (1806)

오스만 제국의 기 오스만 제국
지휘관

프로이센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
프로이센 루이제 왕비
프로이센 빌헬름 페르디난트
프로이센 게프하르트 블뤼허
프로이센 프레데리크 루이즈
프로이센 루이즈 페르디난트
프로이센 유진 공작
프로이센 에른스트 폰 뤼첼
프로이센 루드비히 바텐베르크
프로이센 프리드리히 아돌프
러시아 제국 알렉산드르 1세
러시아 제국 레온티 베니히센
러시아 제국 바클라이 드 톨리
러시아 제국 드미트리 고리친
러시아 제국 미하일 쿠투조프
스웨덴 구스타브 4세 아돌프
스웨덴 한스 폰 에센
영국 조지 3세

영국 아서 웰즐리

프랑스 나폴레옹 1세
프랑스 루이 니콜라 다부
프랑스 조아생 뮈라
프랑스 니콜라 장드듀 술트
프랑스 장 란
프랑스 아우구스테 마몽
프랑스 제롬 보나파르트
프랑스 기욤 마리 안 브륀
프랑스 루이 베르티에
프랑스 에두아르 모르티에
네덜란드 루이 보나파르트
이탈리아 왕국 (1805년~1814년) 외젠 드 보아르네
유제프 포니아토프스키

얀 동브로프스키
  • v
  • t
  • e

  • 서인도 제도
  • 아드리아 해
  • 제1차 자바
  • 인도양
  • 제2차 자바
  • v
  • t
  • e
제4차 대프랑스 동맹
슐라이츠 – 잘펠트 – 예나-아우어슈테트뤼베크 – 대 폴란드 – 골리민 – 풀투스크 – 아일라우 – 콜베르크 – 단치히 – 하일스베르크 – 프리틀란트

제4 대프랑스 동맹(Fourth Coalition, 1806년 10월 6일 - 1807년 7월 7일)은 나폴레옹 1세프랑스 제국의 패권에 도전하기 위해 프로이센 왕국, 러시아 제국, 작센 왕국, 스웨덴, 영국이 결성한 동맹이다.


독일-폴란드 전쟁 (1806년 - 1807년)

예나-아우어슈테트 전투

The beautiful Queen Louise belonged to the pro-war faction.
루이제 왕비

프로이센 국왕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는 국력의 차이가 현저한 프랑스와 전쟁을 그다지 찬성하지 않았으나, 왕비 루이제 폰 메클렌부르크, 프로이센 왕자 루이 페르디난트 같은 반나폴레옹의 선봉은 왕을 설득하여, 결국 전쟁을 벌이게 한다.

프로이센군을 동원했지만, 작전 계획이나 지휘권의 소재가 명확하지 않았기 때문에 동원은 부진했다. 1806년 9월 26일 프로이센은 프랑스군에게 독일에서 철수하라는 최후 통첩을 보냈다. 이때는 전날 9월 25일 나폴레옹이 파리를 출발한 후였다. 이러한 프로이센군의 초동 지연은 프랑스군에 대비를 할 시간만 벌어 주었다.

10월 9일 프로이센군은 프랑스에 선전 포고를 하고 15만 병력으로 튀링겐을 침공했다. 나폴레옹은 즉시 20만 병력으로 바이에른에서 작센 방면을 향해 진격하였다. 10월 10일, 《잘펠트 전투》에서 란누 군단이 프로이센군 선봉 루이 페르디난트 황태자가 전사했다.

프로이센군 본대도 10월 14일예나-아우어슈테트 전투》에서 치명적인 타격을 받았다. 예나 방면에서 나폴레옹이 이끄는 프랑스군 주력이 프로이센군의 후위 부대를 격파했고, 아우어슈테트 방면에서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브라운슈바이크 공작이 이끄는 프로이센군 주력이 2배의 병력으로 다부 군단을 공격하였지만, 격퇴되었다.

프랑스군은 패주하는 프로이센군을 추격하여, 10월 25일 프로이센의 수도 베를린을 함락하였다. 10월 27일 나폴레옹은 베를린에 입성했다. 개전부터 불과 19일만에 일어난 일이었다. 프리드리히 2세의 묘를 방문한 나폴레옹은 "그가 살아있다면 우리는 오늘 여기에서 있지 않았을 것이다"라고 말했다고 한다. 11월 6일, 마그데부르크의 수비대가 항복했고, 사실상 국내 프로이센군은 소멸되었다.

아일라우 전투

1807년 아일라우 전투의 나폴레옹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는 동프로이센에 몽진하여 쾨니히스베르크를 임시 수도로 삼았다. 러시아는 10만 명의 원군을 동프로이센에 집결시켰다. 나폴레옹은 폴란드로 진군했고, 폴란드는 나폴레옹을 조국의 해방자로 열렬히 환영했다.

1807년 1월, 추위를 뚫고 프랑스군은 쾨니히스베르크 향해 침공하였다. 2월 7일-8일 러시아-프로이센 연합군과 《아일라우 전투》에서 충돌했다. 블리자드의 전투는 어려운 전투가 되었고, 프랑스군은 러시아군의 철수로 신승을 얻는다, 양군 모두 엄청난 사상자를 내었고, 결론은 나지 않았다. 프랑스군은 일단 후퇴를 루훼부루를 사령탑으로 3월 18일부터 단치히 자유시의 공방전을 시작했고 5월 27일 프로이센군 수비대가 항복했다.

프리틀란트 전투

러시아군도 조직을 정비하고 6월 활동을 재개한다. 6월 10일 하이루스베르크 전투에서 프랑스군에 대해 전략적인 승리를 거두기 위해 후퇴를 선택했다. 나폴레옹은 러시아군을 쫓는 것이 아니라, 그 출격 거점을 타격하기 위해 쾨니히스베르크로 군을 이동시켰다. 러시아군은 가장 동쪽 깊숙히 진격해온 란누 군단을 공격하려 시도했지만, 나폴레옹이 이끄는 프랑스군 주력에 포착되었고, 6월 14일프리틀란트 전투》에서 큰 타격을 받았다. 6월 16일 스르트가 쾨니히스베르크를 점령했고, 프로이센은 완전히 패배했다.

전후 처리

7월 7일 - 9일, 《틸지트 조약》이 체결되었고 러시아프로이센은 프랑스와 강화를 하고, 동맹에서 탈퇴했다. 나폴레옹은 프로이센에서 할양했던 영토에 베스트팔렌 왕국을 건국하고, 동생 제롬 보나파르트를 왕으로 즉위시켰다. 또한 폴란드를 독립시켜 바르샤바 공국을 건국했다. 따라서 나폴레옹은 중유럽 및 동유럽의 패권을 차지하게 된다.

이후, 대륙봉쇄령에 참여를 거부한 스웨덴 대해 나폴레옹은 러시아 황제 알렉산드르 1세와 회담을 했고, 다음 해인 1808년, 러시아-스웨덴 전쟁을 일으키게 했다. 따라서 나폴레옹은 북유럽도 제압했다.

같이 보기

  • v
  • t
  • e
교전국
프랑스와 위성국
및 동맹국
대불동맹군
주요 전투
전조
1805
  • 다이아몬드 락
  • 피니스테레곶
  • 베르팅겐
  • 귄츠부르크
  • 알베크
  • 엘칭언
  • 울름
  • 베로나
  • 트라팔가르
  • 카디에로
  • 오테갈곶
  • 암슈테텐
  • 뒤렌슈타인
  • 슝라베른
  • 아우스터리츠
1806
  • 가에타
  • 캄포 테네세
  • 마이다
  • 슐라이츠
  • 자펠트
  • 예나–아우어슈테트
  • 에르푸르트
  • 할레
  • 마그데부르크
  • 프렌츨라우
  • 파세발크
  • 슈체친
  • 바렌-노센틴
  • 뤼베크
  • 비엘코폴스카 봉기
  • 하멜른
  • 차르노보
  • 골리민
  • 푸위츠크
1807
  • 모흐룬건
  • 슈트랄준트
  • 아일라우
  • 오스트로웽카
  • 콜베르크
  • 단치히
  • 밀레토
  • 구테슈타트-데펜
  • 하일스베르크
  • 프리틀란트
  • 코펜하겐
  • 포르투갈 침공
1808
  • 도스 데 마요
  • 알 브뤽
  • 로실리 편대
  • 카베손
  • 제1차 사라고사
  • 발렌시아
  • 메디나 델 리오 세코
  • 바일렌
  • 로리차
  • 비메이로
  • 팡코르보
  • 발마세다
  • 부르고스
  • 에스피노사
  • 투델라
  • 소모시에라
  • 제2차 사라고사
  • 사하귄
  • 베나벤테
1809
  • 카스텔롱
  • 우클리스
  • 코루나
  • 발스
  • 티롤 반란
  • 빌라프랑카
  • 예비네
  • 시우다드레알
  • 제1차 포르토
  • 메델링
  • 베르기젤
  • 사칠
  • 튜건-하우젠
  • 라슈친
  • 아벤스베르크
  • 랜드슈트
  • 에크뮐
  • 라티스본
  • 달마티아
  • 지로나
  • 피아베강
  • 제2차 포르투
  • 아스페른-에슬링
  • 알카니스
  • 라브
  • 바그람
1810
  • 카디스
  • 아스토르가
  • 시우다드로드리고
  • 알메이다
  • 부사초
1811
  • 제보라
  • 바로사
  • 폼발
  • 캄포마요르
  • 사부갈
  • 알메이다
  • 후엔테스데오뇨로
  • 타라고나
  • 알부에라
  • 사군토
  • 아로요도몰리노
  • 발렌시아
1812
1813
1814
1815
  • 톨렌티노
  • 안코나
  • 콰트레브라
  • 리그니
  • 워털루
  • 바브레
  • 로셰세비에르
  • 로켕코르
  • 이시
정보
프랑스 및
동맹국 지도자
대프랑스 동맹군
지도자
관련 전쟁
조약
기타
  • 포털 포털
  • 위키프로젝트 군사사
  • 위키낱말사전 definition
  • 위키미디어 공용 media
  • 위키인용집 quotes
  • v
  • t
  • e
러시아의 군사 충돌(제국소련 시기 포함)
내전
17세기 이전
  • 모스크바-볼가 불가르 전쟁 (1376년)
  • 보자 강 전쟁 (1378년)
  • 리투아니아-모스크바 전쟁 (1492년~1494년)
  • 모스크바-스웨덴 전쟁 (1495년~97년)
  • 리투아니아-모스크바 전쟁 (1500년~1503년)
  • 시리챠 강 전투 (1501년)
  • 리투아니아-모스크바 전쟁 (1507년~1508년)
  • 리투아니아-모스크바 전쟁 (1512년~1522년)
  • 리투아니아-모스크바 전쟁 (1534년~1537년)
  • 러시아-크림 전쟁
  • 러시아-카잔 전쟁
  • 러시아-스웨덴 전쟁 (1554년~1557년)
  • 리보니아 전쟁
  • 러시아-스웨덴 전쟁 (1590년~1595년)
  • 폴란드-러시아 전쟁 (1605년-1618년)과 곤란의 시기
  • 인그리아 전쟁
  • 스몰렌스크 전쟁
  • 청-러시아 국경 분쟁 (1652년~1689년)
  • 러시아-폴란드 전쟁 (1654년-1667년)
  • 제2차 북방 전쟁
  • 러시아-튀르크 전쟁 (1676년~1681년)
  • 러시아-튀르크 전쟁 (1686년~1700년)
18~19세기
20세기
소련 이후
  • v
  • t
  • e
폴란드의 전쟁 및 분쟁
피아스트 왕조
  • 체디니아 전투
  • 독일-폴란드 전쟁 (1002년–1018년)
  • 볼레스와프 1세의 키예프 계승위기 개입
  • 1072년 보헤미아와 전쟁
  • 그와고프 방어전
  • 1146년 독일과 전쟁
  • 1156년 독일과 전쟁
  • 제1차 몽골의 폴란드 침공
  • 제2차 몽골의 폴란드 침공
  • 제3차 몽골의 폴란드 침공
  • 제1차 폴란드-튜턴 전쟁
    • 프와브체 전투
  • 갈리치아-볼히니아 전쟁
야기에우워 왕조
  • 폴란드-리투아니아-튜턴 전쟁
    • 그룬발드 전투
  • 기아 전쟁
  • 골룹 전쟁
  • 제2차 폴란드-튜턴 전쟁
  • 그로트니키 전투
  • 1444년 오스만과 전쟁
  • 13년 전쟁
  • 사제 전쟁
  • 폴란드-몰다비아 전쟁
  • 폴란드-리투아니아-모스크바 전쟁
  • 제3차 폴란드-튜턴 전쟁
  • 폴란드-리투아니아-모스크바 전쟁
  • 오스만-타타르의 리투아니아-폴란드 침공
제1공화국
  • 북방 7년 전쟁
  • 단치히 반란
    • 루비에스조프 전투
  • 단치히 공방전 (1577년)
  • 리보니아 전쟁
    • 스테판 바토리의 리보니아 원정
  • 폴란드 왕위 계승 전쟁 (1587년–1588년)
    • 비스치나 전투
  • 1589년 타타르 침공
  • 코신스키 봉기
  • 1593년 타타르 침공
  • 날랴바이코 봉기
  • 몰다비아 유력자 전쟁
  • 시기스문드 폐위전쟁
    • 스통게브로 전투
  • 폴란드-스웨덴 전쟁 (1600년–1611년)
  • 폴란드-스웨덴 전쟁 (1617년–1618년)
  • 폴란드-스웨덴 전쟁 (1621년–1625년)
  • 폴란드-스웨덴 전쟁 (1626년–1629년)
  • 폴란드-러시아 전쟁 (1605년–1618년)
    • 클루시노 전투
  • 제브르지도브스키의 난
  • 30년 전쟁
    • 후멘네 전투
  • 폴란드-오스만 전쟁 (1620년-1621년)
    • 코틴 전투 (1621년)
  • 1624년 타타르 침공
  • 즈마일로 봉기
  • 페도로비치 봉기
  • 스몰렌스크 전쟁
    • 스몰렌스크 공방전 (1632년-1633년)
  • 폴란드-오스만 전쟁 (1633년-1634년)
  • 파울루크 봉기
  • 오스트르자닌 봉기
  • 1644년 타타르 침공
  • 흐멜니츠키 봉기
  • 폴란드-러시아 전쟁 (1654년-1667년)
  • 제2차 북방 전쟁
    • 대홍수
  • 폴란드-카자크-타타르 전쟁 (1666년-1671년)
  • 폴란드-오스만 전쟁 (1672년-1676년)
    • 코틴 전투 (1673년)
  • 폴란드-오스만 전쟁 (1683년-1699년)
  • 대북방 전쟁
  • 폴란드 왕위 계승 전쟁
  • 바르 동맹전쟁
  • 폴란드-러시아 전쟁 (1792년)
  • 코시치우슈코 봉기
폴란드 분할
제2공화국
  • 폴란드-우크라이나 전쟁
  • 비엘코폴스카 봉기 (1918년–1919년)
  • 폴란드-체코슬로바키아 전쟁
  • 제1차 실레지아 봉기
  • 소련-폴란드 전쟁
    • 바르샤바 전투 (1920년)
  • 제2차 실레지아 봉기
  • 폴란드-리투아니아 전쟁
  • 제3차 실레지아 봉기
제2차 세계 대전
인민공화국
제3공화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