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울산 해역 지진

2016 울산 해역 지진
UTC 시각2016-07-16 11:33:03
ISC 지진번호
USGS-ANSSComCat
현지일2016년 7월 5일
현지시간
규모   Mw[1][2] 5.0
최대 진도   메르칼리 진도 계급 진도 IV : 부산, 울산, 포항
진원 깊이20[3] km

2016년 울산 해역 지진[1]은 2016년 7월 5일 오후 8시 33분 울산 동구 동쪽 52km 해상에서 발생한 규모 5.0의 지진이다. 이 지진으로 울산 및 영남 지역뿐 아니라 호남 충청 지역에서도 사람들이 신고전화가 속출했다. 일본에서도 쓰시마섬에서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 최대 2를 감지하였다.[4] 오후 9시 24분에는 울산 동구 동쪽 41km 해상에서 규모 2.6의 여진이 발생했다.[1]

관련 정보

기상청은 규모 5.0 지진의 충격파는 TNT 32 kt을 터뜨리는 폭발력과 비슷한 충격이라고 진단했다. 일본 나가사키에 떨어진 팻 맨의 1.5배 폭발력에 해당한다.[5]

이 지진은 쓰시마-고토 단층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단층은 고토 열도에서 쓰시마섬 서부를 지나 동해로 이어지는 단층이다.[6]

지진이 발생한 곳은 울산에서 동쪽으로 144km 떨어진 일본 영해의 동해 먼바다입니다...(중략)...전문가들은 이번 지진이 원래 지진이 잦은 쓰시마-고토 단층에서 발생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울산 앞바다에서 발생한 2016년의 규모 5.0 지진 역시 이 단층에서 발생한 지진입니다. 이번 지진도 규모가 작지 않기 때문에 당분간은 약한 여진이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문제는 해당 단층에서 더 큰 지진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점입니다.

[홍태경/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부 교수  : "해당 지역에서 발생했던 지진 기록들과 그 발생했던 기간을 종합해볼 때 해당 지역에서는 규모 7대의 지진들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이 단층의 일부분은 상하로 이동하는 역단층으로 이뤄져 있어 강진이 발생하면 지진 해일의 가능성도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 단층이 한일 양국의 영해에 걸쳐 있는 만큼 공동조사가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

— 동해서 규모 4.6 지진…‘불의 고리’ 잇단 지진 영향? (KBS, 2022.9.20.)

같이 보기

각주

  1. 기상청 지진화산감시과 (2016년 7월 5일). “울산 동구 동쪽 해역지진 발생 현황”. 《기상청》. 2016년 7월 6일에 확인함. 
  2. 차근호 기자 (2016년 7월 5일). “울산 동쪽 해상에서 규모 5.0 지진…경북·경남·광주 진동감지(종합)”. 부산. 연합뉴스. 
  3. 강희경 기자 (2016년 7월 6일). “울산 앞바다 5.0 지진..."쓰나미 가능성 없어"”. 《YTN》. 
  4. “震度データベース検索 (地震別検索結果)” (일본어). 일본 기상청. 2016년 7월 5일. 2018년 12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2월 6일에 확인함. 
  5. 김윤식 기자 (2016년 7월 6일). “울산 지진 나카사키 원폭 1.5배 수준, TNT 폭약 3만2000t 동시 폭발 효과...한반도 역대 지진 규모별 순위는?”. 《글로벌이코노믹》. 2016년 7월 6일에 확인함. 
  6. “동해서 규모 4.6 지진…'불의 고리' 잇단 지진 영향?”. KBS. 2022년 9월 20일. 

외부 링크

  • USGS의 지진 분석
  • 609073400 South Korea - International Seismological Centre
  • v
  • t
  • e
1월
2월
  • 타이완 남부 (6일, M6.6)
  •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 (14일, M5.7)
3월
  •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2일, M7.8)
4월
5월
  • 대만 북동쪽 해역 (31일, M6.9)
6월
7월
  • 대한민국 울산 해역 (5일, M5.0)
8월
9월
  • 뉴질랜드 테아라오라 (2일, M7.1)
  • 미국 오클라호마 (3일, M5.6)
  • 탄자니아 부코바 (10일, M5.9)
  • 대한민국 경주 (12일, M5.8)
10월
11월
12월
  • † 30명 이상 사망한 지진
  • ‡ 이 해 사망자가 가장 많은 지진
  • 지진 규모는 모멘트 규모
  • 지진 발생일시는 UTC
  • v
  • t
  • e
고려 시기 이전
(- 1392)
  • (고구려 졸본 (2 · M?))
  • 위례성 인근 (13 · M?)
  • 위례성 인근 (27 · M6.3)
  • 광주 (89 · M6.3)
  • 경주 (100 · M6.3)
  • 경주 (123 · M6.3)
  • 경주 (304 · M6.3)
  • 평양 (502 · M6.3)
  • 경주 (510 · M6.3)
  • 경주 (664 · M6.3)
  • 경주 (779 · M6.7)
  • 경주 (780 · M6.3)
  • 개성 (1036 · M5.7)
  • 개성 (1385 · M6.3)
조선 시기
(1392-1905)
  • 순천 (1455 · M6.4)
  • 한성 (1518 · M6.7)
  • 백천 해역 (1518 · M6.7)
  • 경산 (1553 · M6.3)
  • 백두산 인근 (1597 · M8<)
  • 수원 (1613 · M6.3)
  • 합천 (1643 · M6.4~6.7)
  • 울산 해역 (1643 · M6.7)
  • 황해 해역 (1649 · M6.5)
  • 순창 (1664 · M6.3)
  • 황해도 청단 (1668 · M6.4)
  • 김제 해역 (1670 · M6.3)
  • 양양 해역 (1681 · M7.5)
  • 홍성 (1700 · M6.5)
  • 개성 (1714 · M6.7)
  • 함흥 (1727 · M5.7)
  • 부령 (1810 · M?)
  • 대한제국 중부 (1899 · M6.4)
근대적 관측 시기
(1905-1977년)
정밀 관측 시기
(1978년-현재)
한국에 영향을 준 지진해일
  • 한국의 지질
  • 한국의 단층
  • 조선 누층군
  • 평안 누층군
  • 옥천 누층군
  • 경상 누층군
  • 북한 관입암류
  • 한국의 지진
  • 강원고생대국가지질공원
  • 단양국가지질공원
  • 청송지질공원
  • 부산국가지질공원
  • v
  • t
  • e
암석
선캄브리아기
고생대 조선 누층군
  • v
  • t
  • e
태백층군
지층
삼엽충 생층서대
코노돈트 생층서대
  • 화절층
    • Proconodontus
    • Eoconodontus notchpeakensis
    • Cambrooistodus minutus
    • Cordylodus proavus
    • Fryxellodontus inornatus-Monocostodus sevierensis-Semiacontiodus lavadamensis
  • 두무골층
    • Chosonodina herfurthi-Rossodus manitouensis
    • Glyptoconus quadraplicatus
    • Paracordylodus gracilis
    • Triangulodus dumugol
  • 막골층
    • Triangulodus changshanensis-Aurilobodus leptosomatus
  • 직운산층
    • Eoplacognathus suecicus-Eoplacognathus jigunsanensis
영월층군
지층
삼엽충 생층서대
  • 삼방산층
    • Metagraulos sampoensis
    • Megagraulos semicircularis
  • 마차리층
    • Tonkinella
    • Lejopyge armata
    • Glyptagnotus stolidotus
    • Glyptagnostus reticulatus
    • Proceratopyge tenuis
    • Hancrania brevilimbata
    • Eugonocare longifrons
    • Eochuangia hana
    • Agnostotes orientalis
    • Pseudoyuepingia asaphoides
  • 와곡층
    • Fatocephalus hunjiangensis
  • 문곡층
    • Yosimuraspis
    • Kainella
    • Shumardia
  • 영흥층
    • Kayserapsis
필석 생층서대
  • 문곡층
    • Adelograptus
    • Callograptus-Dendrograptus
    • Psigraptus
평창층군
용탄층군
지층
코노돈트 생층서대
문경층군
평남분지
  • 중화층군
  • 흑교층군
  • 무진층군
  • 고풍층군
    • 상서리·만달·신곡층군
주요 화석
지질구조
습곡
단층
영월인편상구조대
기타
지질유산
삼척시
동해시
태백시
영월군
평창군
정선군
단양군
문경시
기타
지하자원
삼척·태백
영월군
정선군
제천시
기타
기타
  • 한국의 지질
  • 한국의 단층
  • 조선 누층군
  • 평안 누층군
  • 옥천 누층군
  • 경상 누층군
  • 북한 관입암류
  • 한국의 지진
  • 강원고생대국가지질공원
  • 단양국가지질공원
  • 청송지질공원
  • 부산국가지질공원
고생대 평안 누층군
  • v
  • t
  • e
삼척탄전
영월탄전
강릉탄전
정선-평창탄전
단양탄전
문경탄전
보은탄전
화순탄전
해남-강진탄전
석탄박물관
관련 문서
  • 한국의 지질
  • 한국의 단층
  • 조선 누층군
  • 평안 누층군
  • 옥천 누층군
  • 경상 누층군
  • 북한 관입암류
  • 한국의 지진
  • 강원고생대국가지질공원
  • 단양국가지질공원
  • 청송지질공원
  • 부산국가지질공원
중생대 경상 누층군
  • v
  • t
  • e
신동층군

하양층군
의성소분지
밀양소분지
영양소분지
유천층군
불분명·기타
지역별 지질
광역시
경상북도
경상남도
그 외
지질 유산
경북
경북동해안 국가지질공원
청송지질공원
  • v
  • t
  • e
암석
대보·불국사 관입암
  • 청송 화강암
  • 흑운모 화강암
  • 부남암주
  • 규장암
  • 산성암맥
  • 중성암맥
중생대 경상 누층군
선캄브리아기
  • 화강암질 편마암
  • 각섬암
  • 석회규산염암
지질유산
퇴적암
화성암
  • 주왕산 기암단애
  • 주방천 페퍼라이트
  • 주왕산 연화굴
  • 주왕산 용추협곡
  • 주왕산 용연폭포
  • 주왕산 급수대 주상절리
  • 주왕산 절골협곡
  • 주산지
  • 청송 얼음골
  • 법수도석
  • 병암 화강암 단애
  • 나실 마그마 혼합대
  • 면봉산 칼데라
  • 수락리 주상절리
  • 파천 구상 화강암
  • 청송 구과상 유문암
  • 노루용추 계곡
  • 달기약수
  • 한국의 지질
  • 한국의 단층
  • 조선 누층군
  • 평안 누층군
  • 옥천 누층군
  • 경상 누층군
  • 북한 관입암류
  • 한국의 지진
  • 강원고생대국가지질공원
  • 단양국가지질공원
  • 청송지질공원
  • 부산국가지질공원
의성지질공원
영양소분지
의성소분지
대구
경남
유천층군
진동층
함안층
진주층
기타
부산
  • v
  • t
  • e
암석
중생대 화강암
중생대 경상 누층군
화산암
퇴적암
지질유산
기타
  • 한국의 지질
  • 한국의 단층
  • 조선 누층군
  • 평안 누층군
  • 옥천 누층군
  • 경상 누층군
  • 북한 관입암류
  • 한국의 지진
  • 강원고생대국가지질공원
  • 단양국가지질공원
  • 청송지질공원
  • 부산국가지질공원
울산
기타
경상 분지
내 단층
가음 단층
양산 단층
기타
지하자원
  • 한국의 지질
  • 한국의 단층
  • 조선 누층군
  • 평안 누층군
  • 옥천 누층군
  • 경상 누층군
  • 북한 관입암류
  • 한국의 지진
  • 강원고생대국가지질공원
  • 단양국가지질공원
  • 청송지질공원
  • 부산국가지질공원
신생대
북한
  • v
  • t
  • e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관입암류
신생대 관입암류
중생대 관입암류
  • 두만강암군
  • 평강암군
  • 혜산암군
  • 단천암군
  • 압록강암군
고생대 관입암류
원생대 관입암류
  • 안돌암군 II부류
  • 묘향산암군(련화산암군 II부류)
  • 리원암군
  • 벽성암군
  • 옹진암군
  • 삭주암군
  • 연산암군
  • 삼해암군
시생대 관입암류
  • 안돌암군 I부류
  • 련화산암군
  • 무산암군(종전 리원암군)
  • 한국의 지질
  • 한국의 단층
  • 조선 누층군
  • 평안 누층군
  • 옥천 누층군
  • 경상 누층군
  • 북한 관입암류
  • 한국의 지진
  • 강원고생대국가지질공원
  • 단양국가지질공원
  • 청송지질공원
  • 부산국가지질공원
주요 지질 구조
지체 구조
단층
  • v
  • t
  • e
적색 처리된 단층은 ESR 연대측정, OSL 연대측정, 탄소-14 연대측정에 의해 제4기에 활동한 것으로 확인된 활성단층이다.
수도권 지역
주요 단층
기타 단층
강원도 지역
주요 단층
영월인편상구조대
설악산·인제군
강릉시·평창군
치악산·횡성군
기타 단층
충청도 지역
주요 단층
단양군
충주·제천
경상도 지역
양산 단층
울산 단층
가음 단층
안동시
문경시
상주시
울진·봉화
영양군
대구광역시
경주·포항
기타
전라도 지역
동해 해역
북한
단층 분지
  • 한국의 지질
  • 한국의 단층
  • 조선 누층군
  • 평안 누층군
  • 옥천 누층군
  • 경상 누층군
  • 북한 관입암류
  • 한국의 지진
  • 강원고생대국가지질공원
  • 단양국가지질공원
  • 청송지질공원
  • 부산국가지질공원
습곡
화산지형
고원
기타
주요 지진
  • v
  • t
  • e
고려 시기 이전
(- 1392)
  • (고구려 졸본 (2 · M?))
  • 위례성 인근 (13 · M?)
  • 위례성 인근 (27 · M6.3)
  • 광주 (89 · M6.3)
  • 경주 (100 · M6.3)
  • 경주 (123 · M6.3)
  • 경주 (304 · M6.3)
  • 평양 (502 · M6.3)
  • 경주 (510 · M6.3)
  • 경주 (664 · M6.3)
  • 경주 (779 · M6.7)
  • 경주 (780 · M6.3)
  • 개성 (1036 · M5.7)
  • 개성 (1385 · M6.3)
조선 시기
(1392-1905)
  • 순천 (1455 · M6.4)
  • 한성 (1518 · M6.7)
  • 백천 해역 (1518 · M6.7)
  • 경산 (1553 · M6.3)
  • 백두산 인근 (1597 · M8<)
  • 수원 (1613 · M6.3)
  • 합천 (1643 · M6.4~6.7)
  • 울산 해역 (1643 · M6.7)
  • 황해 해역 (1649 · M6.5)
  • 순창 (1664 · M6.3)
  • 황해도 청단 (1668 · M6.4)
  • 김제 해역 (1670 · M6.3)
  • 양양 해역 (1681 · M7.5)
  • 홍성 (1700 · M6.5)
  • 개성 (1714 · M6.7)
  • 함흥 (1727 · M5.7)
  • 부령 (1810 · M?)
  • 대한제국 중부 (1899 · M6.4)
근대적 관측 시기
(1905-1977년)
정밀 관측 시기
(1978년-현재)
한국에 영향을 준 지진해일
  • 한국의 지질
  • 한국의 단층
  • 조선 누층군
  • 평안 누층군
  • 옥천 누층군
  • 경상 누층군
  • 북한 관입암류
  • 한국의 지진
  • 강원고생대국가지질공원
  • 단양국가지질공원
  • 청송지질공원
  • 부산국가지질공원
지역별 지질
경기 지역
강원 지역
충청 지역
영남 지방
호남 지방
지질 명소
경기·인천
강원
충청
호남
영남
제주
대한민국 국가지질공원
한국의 산맥
관련 기관
옛날 지질지도
  • 한국의 지질
  • 한국의 단층
  • 조선 누층군
  • 평안 누층군
  • 옥천 누층군
  • 경상 누층군
  • 북한 관입암류
  • 한국의 지진
  • 강원고생대국가지질공원
  • 단양국가지질공원
  • 청송지질공원
  • 부산국가지질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