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화롄 지진

북위 23° 24′ 동경 121° 37′ / 북위 23.4° 동경 121.61°  / 23.4; 121.61여진횟수규모 M5 이상 여진 6회최대여진3월 23일 오전 1시 43분 규모 ML6.2, 최대진도 4 지진[4]피해피해 지역타이완 지역지진해일없음사상자1명 부상

2022년 화롄 지진(중국어: 2022年花蓮地震)은 2022년 3월 23일 1시 41분 38초에 중화민국(대만) 화롄현 남쪽 58km 해역에서 일어난 지진이다.[2] 릭터 규모 ML6.7이며 진원 깊이는 25.7 km이다.[2] 타이둥현 창빈향에서 중화민국 중앙기상국 진도 계급 기준 6약급을 관측했는데 이는 신 진도 계급 개정 이후 처음으로 6약급을 관측한 지진으로 이 지역에 47년만에 발생한 가장 큰 규모의 지진이다. 본진 발생 2분 후 릭터 규모 ML6.2의 여진이 관측되었는데 이는 타이완에서 발생한 여진 중 가장 큰 규모의 지진이다.[4]

지질학적 환경

타이완필리핀해판유라시아판이 만나는 환태평양 조산대 위에 있다. 필리핀해판은 1년에 평균 82 mm의 속도로 유라시아판과 충돌해 아래로 섭입하며 두 판의 섭입대에는 화둥쭝구가 있어 이 곳에서 지진이 빈번하게 발생한다.[5] 수이베이 등의 지진학자 연구에 따르면 타이완 동부에서 수렴 에너지의 40%가 방출되기 때문에 이 지역에서의 지진 활동이 중요하다고 평가했다.[6]

대만 기상국 지진관측중심 소장인 천궈창은 이 지역이 오랫동안 지진이 작게 나거나 발생하지 않았으며 실제로 대부분의 섭입력 힘이 이보다 북쪽의 화롄 단층대에서 방출되어 판 자체가 상대적으로 연약하고 충돌 중 변형이 더 느리고 점진적이라고 밝혔다. 수 년간의 단층 변형 후 섭입력으로 축적된 에너지가 대부분 방출되었으며 북쪽의 화롄 연안 단층대는 이미 대부분의 에너지를 방출해 지구대의 높은 강성과 함께 지구대가 이미 받은 변형으로 일련의 에너지 방출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7]

진도

대만・중국

진도 현/시[2]
6약 타이둥현
5강 화롄현
4급 난터우현 자이현 가오슝시 윈린현 타이중시 이란현 타이난시 자이시 장화현 먀오리현 신주현
3급 핑둥현 타오위안시 신베이시 타이베이시
2급 신주시 펑후현 지룽시
1급 롄장현

일본

진도 도도부현 시정촌[8][3]
2 오키나와현 이시가키시 요나구니정
1 오키나와현 미야코지마시 다라마촌 다케토미정

홍콩

홍콩 천문대(HKO)에서는 시민들이 몇 초간 미세한 흔들림을 느꼈다는 신고가 이어졌다. 이후 분석 결과 홍콩 천문대에서는 지진으로 느낀 홍콩의 진도가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 기준 III이라고 발표했다.[9]

쓰나미

지진 발생 직후인 3시 26분 일본 기상청에서는 피해 우려는 없으나 약간의 해수면 변동이 예상된다며 미야코섬야에야마 지방에 0.2 m 미만의 쓰나미예보를 발령했다.[10]

여진

본진 발생 직후 수 차례 여진이 발생했으며, 이 중 제일 큰 규모의 여진은 같은 날 오전 1시 43분에 발생한 규모 ML6.2, 최대진도 4의 지진이다.[4] 아래는 규모 M5.5 이상의 여진 목록이다.

발생 시각 규모 진앙 최대 진도
3월 23일 1시 42분[11] 5.7 타이둥현 창빈향 4급
3월 23일 1시 43분[4] 6.2 화롄현 펑빈향 4급
3월 23일 3시 35분[12] 5.8 화롄현 해역 4급
3월 23일 4시 29분[13] 6.0 타이둥현 창빈향 4급

피해

화롄현 위리진에 건설 중이던 위싱교는 아직 다리 상판에 고정하지 않은 32개의 다리 중 28개가 붕괴되거나 부러져 최소 3천만 위안의 손실을 입었으나 지진 당시에는 공사가 진행 중이 아니라 인명 피해는 없었다.[14] 또한 타이완 성도 제30호선 위장공로 동쪽 32.5 km 지점에서 산사태와 지반 균열이 발생했고 타이완 성도 제11호선의 창빈향둥허향 구간에서도 낙석이 발생했다.[15]

가오슝시 쯔관구 츠시리에 있는 류더보 고택이 지진으로 외벽, 부조 등이 파손되는 피해가 발생했다.[16] 지진으로 창빈향에서 1명이 유리에 베어 병원으로 이송되었고, 타이난시에서는 지진으로 엘리베이터에 2명이 승강기에 갇혔다가 구조되었다.[17] 타이둥현 청궁진의 주택 20여채가 파손되는 피해가 있었다.[18]

같이 보기

각주

  1. U.S. Geological Survey. “M 6.7 - 62 km S of Hualien City, Taiwan”. 《USGS》. U.S. Geological Survey. 2022년 4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3일에 확인함. 
  2. 交通部中央氣象局. “第019號 3月23日1時41分 規模 6.7 花蓮縣政府南方 65.6 公里 (位於臺灣東部海域)”. 《中央氣象局 地震測報中心》. 交通部中央氣象局. 2022년 4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4월 25일에 확인함. 
  3. NHK. “台湾東部沖でM6.6の地震多少の潮位変化も被害の心配なし”. 《気象・災害ニュース一覧》. NHK. 2022년 4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3일에 확인함. 
  4. 交通部中央氣象局. “第020號 3月23日1時43分 規模 6.2 臺東縣政府北北東方 79.2 公里 (位於臺東縣長濱鄉)”. 《中央氣象局 地震測報中心》. 交通部中央氣象局. 2022년 4월 25일에 확인함. 
  5. “Velocity field of GPS stations in the Taiwan area”. 《Tectonophysics》 (영어) 274 (1-3): 41–59. 1997년 6월 15일. doi:10.1016/S0040-1951(96)00297-1. ISSN 0040-1951. 2021년 6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4월 19일에 확인함. 
  6. “兩張圖秒懂花蓮為何地震頻發”. 《BBC News 中文》 (중국어 정체). 2018년 2월 9일. 2021년 4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4월 19일에 확인함. 
  7. 陳明萱. “花蓮6.6強震│49年最大! 破碎帶引起  氣象局:中南部5大斷層帶要注意”. 《蘋果新聞網》. 蘋果新聞網. 2022년 5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3일에 확인함. 
  8. “地震情報 03月23日 02時41分頃発生 最大震度2” (일본어). 2022년 3월 23일. 2024년 5월 13일에 확인함. 
  9. 洪怡霖. “台灣花蓮6.6級地震 「國家級警報」狂響 香港有市民報稱感震動”. 《香港01》. 香港01. 2022년 5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3일에 확인함. 
  10. “宮古島・八重山地方に津波予報 若干の海面変動が予想 被害の心配なし”. 日本気象協会. 2022년 3월 23일. 2023년 1월 3일에 확인함. 
  11. 交通部中央氣象局. “3月23日1時42分 規模 5.7 臺東縣政府北北東方 82.2 公里 (位於臺東縣長濱鄉)”. 《中央氣象局 地震測報中心》. 交通部中央氣象局. 2022년 3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3일에 확인함. 
  12. 交通部中央氣象局. “第023號 3月23日3時35分 規模 5.8 花蓮縣政府南方 57.6 公里 (位於花蓮縣近海)”. 《中央氣象局 地震測報中心》. 交通部中央氣象局. 2022년 5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3일에 확인함. 
  13. 交通部中央氣象局. “第024號 3月23日4時29分 規模 5.8 臺東縣政府北北東方 79.4 公里 (位於臺東縣長濱鄉)”. 《中央氣象局 地震測報中心》. 交通部中央氣象局. 2022년 3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3일에 확인함. 
  14. 花孟璟. “花蓮「玉興橋」斷橋空拍畫面曝! 包商:斷28根鋼樑每根百餘萬”. 《自由時報》. 自由時報. 2022년 3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3일에 확인함. 
  15. 李依儒. “台30線玉長公路坍方、路面龜裂 全線封閉”. TVBS新聞網. 2022년 5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3일에 확인함. 
  16. 陳玫伶、徐如宜. “地震加下雨 梓官百年洋樓「劉」字、領帶浮雕門楣倒塌”. 聯合報. 2022년 5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4일에 확인함. 
  17. 呂美琪. “深夜5級強震 花蓮玉興橋工程受損 多路落石龜裂”. 《大紀元》. 大紀元. 2022년 5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3일에 확인함. 
  18. “強震襲!台東成功鎮受損屋逾20棟 屋主舉家緊急投奔親”. 台視新聞網. 2022년 5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4월 25일에 확인함. 
  • v
  • t
  • e
1월2월3월
4월5월
  • 페루 칠카(12일, M5.4)
6월
7월
9월
10월11월
  • 네팔 도티구(8일, M5.7)
  • 인도네시아 서자와주(21일, M5.6)†
  • 터키 뒤즈제(23일, M6.1)
12월
  • 미국 캘리포니아주(20일, M6.4)
† 30명 이상 사망한 지진  · ‡ 이 해 사망자가 가장 많은 지진  · 지진 규모는 모멘트 규모  · 지진 발생일시는 UTC
  • v
  • t
  • e
주요 지진
19세기 이전
  • 1694년 타이베이
  • 1736년 타이난
  • 1792년 자이
  • 1815년 단수이
  • 1839년 자이
  • 1845년 타이중
  • 1848년 장화
  • 1862년 타이난
  • 1867년 지룽
20세기
  • 1904년 더우류
  • 1906년 메이산
  • 1910년 대만 동북부 해역
  • 1916-1917년 타이난
  • 1920년 화롄
  • 1935년 신주-타이중
  • 1941년 중푸
  • 1946년 신화
  • 1951년 대만 동지구대
  • 1957년 화롄
  • 1959년 헝춘
  • 1963년 쑤아오
  • 1964년 바이허
  • 1966년 화롄
  • 1972년 루이수이
  • 1986년 화롄
  • 1994년 대만 해협
  • 1995년 뉴더우
  • 1996년 란위섬
  • 1998년 루이리
  • 1999년 난터우 지지
  • 1999년 자이
21세기
  • 2002년 화롄 해역
  • 2003년 타이둥 청궁
  • 2006년 헝춘
  • 2008년 신주 (인공지진)
  • 2009년 난터우
  • 2009년 화롄
  • 2010년 가오슝
  • 2012년 우타이
  • 2013년 난터우
  • 2013년 난터우 2차
  • 2013년 화롄
  • 2014년 펑린
  • 2015년 타이둥
  • 2015년 화롄
  • 2015년 가오슝
  • 2016년 대만 동북부 해역
  • 2016년 타이둥
  • 2017년 타이난
  • 2018년 화롄
  • 2019년 화롄
  • 2019년 이란
  • 2020년 이란
  • 2020년 이란 2차
  • 2021년 화롄
  • 2022년 화롄
  • 2022년 타이둥
  • 2024년 화롄
주요 기관
주요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