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R피디어

QRpedia
http://en.qrwp.org/QRpedia URL에 대한 QP피디어 코드. QP피디어의 로고로 사용된다.
영리여부아니오
사용 언어다국어
제작자테런스 이든, 로저 밤킨
시작일2011년 4월 9일
웹사이트qrpedia.org
현재 상태운영 중

QR피디어(QRpedia)는 위키백과의 문서를 QR 코드를 활용하여 독자에게 제공하는 모바일 웹 시스템이다[1][2][3]. QR 코드는 URL을 이용하여 간단히 만들 수 있으나, QR피디어는 여기에 다른 기능을 추가하였다.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언어의 위키백과 문서를 읽을 수 있다.

QR피디어는 위키미디어 영국(Wikimedia UK)의 로저 밤킨(Roger Bamkin)이 처음 구상하였으며, 테런스 이든(Terence Eden)이 프로그램을 작성, 2011년 4월에 공개되었다. 현재 QR피디어는 영국미국, 스페인박물관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QR피디어의 프로그램 원시 코드는 MIT 라이선스에 의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원리

더비 박물관 방문자가 휴대 전화로 QP피디어의 QR 코드를 검색하고 있다.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로 QR피디어의 QR 코드를 검색하면, 모바일 장치는 "qrwp.org"의 도메인 이름에서 위키백과 문서 제목이 포함된 URL로 접속하게 된다. 이때 모바일 장치의 언어 설정도 함께 전송된다[4]

QR피디어 서버는 위키백과의 API를 사용[1], 사용자가 원하는 언어의 위키백과 문서를 찾아, 모바일에서 보기 쉬운 형식으로 돌려준다[4]. 만약 해당하는 문서가 없다면, QR피디어는 사용자에게 다른 언어나 구글 번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방식으로, QR피디어는 박물관이 직접 번역하지 않더라도 같은 문서를 여러 언어로 제공할 수 있다[4]. QR피디어는 사용자의 접속 통계 기능도 제공한다[4][5].

사용 예

  • 더비 박물관과 미술관의 그림 "A Philosopher Lecturing on the Orrery"에 붙은 레이블. 2012년 2월 기준으로, 위키백과에는 19개 언어로 이 그림을 설명하는 문서가 있다.
    더비 박물관과 미술관의 그림 "A Philosopher Lecturing on the Orrery"에 붙은 레이블. 2012년 2월 기준으로, 위키백과에는 19개 언어로 이 그림을 설명하는 문서가 있다.
  • 인디애나폴리스 어린이 박물관 방문자에게 브로드리플 공원 회전목마를 안내하는 QR피디어 코드.
    인디애나폴리스 어린이 박물관 방문자에게 브로드리플 공원 회전목마를 안내하는 QR피디어 코드.
  • 몬머스피디어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몬머스 시청을 안내하는 QR피디어의 명판.
    몬머스피디어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몬머스 시청을 안내하는 QR피디어의 명판.
  • 체코의 프라하 10구 Záběhlice에 있는 성모 마리아 탄신 교회를 안내하는 QR피디어 코드
    체코의 프라하 10구 Záběhlice에 있는 성모 마리아 탄신 교회를 안내하는 QR피디어 코드

QR피디어가 영국에서 처음 만들어졌으나, 휴대 전화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면 어디서나 사용이 가능하다. 2012년 기준으로 QR피디어를 도입한 곳은 다음과 같다:

QR피디어는 박물관 등의 기관 외부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월 가를 점거하라 운동에서는 홍보 포스터에 QR피디어 코드를 사용하기도 했다[15].

각주

  1. Eden, Terence (2011년 4월 3일). “Introducing QRpedia”. 2011년 8월 25일에 확인함. 
  2. Anon (2011년 8월 19일). “The Children's Museum of Indianapolis Creates New Learning Opportunities through Wikipedian-in-Residence”. The Children's Museum of Indianapolis. 2012년 3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8월 25일에 확인함. 
  3. Johnson, L.; Adams, S. (2011). 《The Technology Outlook for UK Tertiary Education 2011-201》 (PDF). NMC Horizon Report Regional Analyses. Austin, Texas: The New Media Consortium. ISBN 978-0-615-38209-8. 2011년 10월 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1월 30일에 확인함. 
  4. Byrd Phillips, Lori (2011년 6월 15일). “Going Multilingual with QRpedia”. Marcus Institute for Digital Education in the Arts. 2012년 8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8월 25일에 확인함. 
  5. “QRpedia Statistics (example)”. 2012년 7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2월 12일에 확인함. 
  6. Byrd Phillips, Lori (2011년 7월 29일). “QR codes + Wikipedia = QRpedia”. The Children's Museum of Indianapolis. 2011년 9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8월 25일에 확인함. 
  7. Greta Kreuz (2012년 7월 17일). “Historic Congressional Cemetery Program to get Wikipedia boost”. 《WLJA》. 2015년 1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7월 21일에 확인함. 
  8. Hinojo, Alex (2011년 5월 11일). “QRpedia Codes at Fundació Joan Miró”. 《The GLAM-Wiki Experience》. 2012년 8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8월 25일에 확인함. 
  9. “New collaboration between Wikimedia UK and The National Archives”. The National Archives (United Kingdom). 2011년 9월 15일. 2012년 8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9월 16일에 확인함.  다음 글자 무시됨: ‘The National Archives’ (도움말)
  10. Eden, Terence (2011년 9월 18일). “National Archives and QRpedia”. 2011년 9월 18일에 확인함. 
  11. “Become an instant expert with a little help from your mobile”. Smart UK Project. 2012년 2월 2일. 2012년 8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2월 2일에 확인함. 
  12. “Уикипедия:Сътрудничество/Софийски зоопарк”. 《Wikipedia》 (불가리아어). 2012년 2월 14일에 확인함. 
  13. “Monmouth to be Wales' first WiFi town”. 《Monmouth Today》. 2012년 2월 29일. 2012년 8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3월 1일에 확인함. 
  14. “QRpedia a Praha 10: QR kód na každé památce”. 《http://www.mobilmania.cz》. 2012년 9월 30일. 2012년 10월 1일에 확인함.  |work=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15. “We Don't Make Demands: Posters”. 2011년 12월 2일. 2011년 12월 2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QR피디어
  • QRpedia 홈페이지
  • QRpedia 문서에 대한 접속 통계 [각 문서 별로 통계를 볼 수 있다]
  • 구글코드의 Qrpedia 개발 프로젝트
  • QRpedia - 트위터
  • v
  • t
  • e
개요
공동체인물역사영예각주 및 분석
  • 문화
  • 참고 문헌
  • 영화
  • 학술 연구
  • 리슨 투 위키피디아
  • 위키-워치
  • 위키피디오크러시
  • 위키스캐너
  • 위키피디아 리뷰
모바일 접근콘텐츠 사용비슷한 프로젝트관련 항목